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2020년대

더 웨일(2022) - 죄책감과 용서와 화해와 구원에 관한 장황설(張皇說)

by 조브라이언 2023. 3. 7.
반응형

출처-구글 이미지

※ 글 내용 중에 영화 <더 웨일(2022)>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더 웨일(2022) - 죄책감과 용서와 화해와 구원에 관한 장황설(張皇說)

데뷔작 <파이 Pi(1998)> 이후 <레퀴엠 Requiem for a Dream(2000)><더 레슬러 The Wrestler(2008)><블랙 스완 Black Swan(2010)><마더! Mother!(2017)> 등 충격과 공포를 잔뜩 머금은 문제작들을 발표해 온 미국 필름메이커 대런 아로노프스키 Darren Aronofsky의 8번째 장편 연출작 <더 웨일 The Whale(2022)>은 미국 극작가 사무엘 D. 헌터 Samuel D. Hunter가 2012년 발표한 같은 제목의 연극을 원작으로 원작자인 헌터가 각색을 맡은 심리 드라마입니다.

 

<샌프란시스코에서 하룻밤 Dogfight(1991)>의 단역으로 데뷔한 후 <원시 틴에이저 Encino Man(1992)><스쿨 타이 School Ties(1992)><영거 앤 영거 Younger and Younger(1993)><하버드 졸업반 With Honors(1994)> 등 청춘영화의 주연급 스타로 자리를 굳히면서 액션 어드벤처 <미이라 The Mummy> 시리즈(1999~2008)와 같은 블록버스터는 물론 <갓 앤 몬스터 Gods and Monsters(1998)><콰이어트 아메리칸 The Quiet American(2002)><크래쉬 Crash(2004)> 등 진중한 드라마에까지 저변을 넓히며 2000년대 이후에도 맹활약했으나 2010년대 이후 예전과 같은 입지를 지키지 못한 미국 배우 브렌든 프레이저 Brendan Fraser가 체중 270kg의 은둔자 찰리를 연기했습니다.

 

넷플릭스 시리즈 <기묘한 이야기 Stranger Things(2017~)>로 이름을 알린 미국 배우 세이디 싱크 Sadie Sink가 찰리의 딸 엘리 역을 맡았고, <다운사이징 Downsizing(2017)><더 메뉴 The Menu(2022)> 등에 출연한 베트남계 미국 배우 홍 차우 Hong Chau가 찰리의 친구이자 간호사 리즈를 연기했습니다.

 

톰 크루즈 Tom Cruise 주연의 <우주전쟁 War of the Worlds(2005)>에서 3살 아기 역할로 데뷔한 후, <리틀 칠드런 Little Children(2006)><레볼루셔너리 로드 Revolutionary Road(2008)><인시디어스 Insidious> 시리즈(2011~2018), <아이언맨 3 Iron Man 3(2013)><쥬라기 월드 Jurassic World(2015)> 등으로 낯익은 어린이 배우 출신 타이 심킨스 Ty Simpkins가 선교사 토머스를 연기했고, <스윗 앤 로다운 Sweet and Lowdown(1999)><천사의 아이들 In America(2002)>로 각각 아카데미 여우조연상과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던 사만다 모튼 Samantha Morton이 찰리와 이혼한 메리로 등장합니다.


2022년 79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경쟁부문 <더 웨일(2022)> 레드카펫에 선 브렌든 프레이저, 홍 차우, 대런 아로노프스키, 세이디 싱크, 사무엘 D. 헌터(왼쪽부터)(출처-구글 이미지)

<천년을 흐르는 사랑 The Fountain(2006)>이 처음 경쟁부문에 초청된 후, <더 레슬러(2008)>가 황금사자상을 받았고, 그 이후 <블랙 스완(2010)><마더!(2017)>까지 대런 아로노프스키는 베니스 국제영화제 단골손님인데요. <마더!(2017)> 이후 5년 만의 신작인 <더 웨일(2022)>도 예외 없이 2022년 79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되어, 전 세계 최초 공개되었습니다.

 

그리고 2022년 12월 9일, A24 배급으로 북미 6개 극장에서 리미티드 릴리즈로 선개봉해 첫 주말 수익 33만 달러(약 4억 3,032만 원), 극장별 평균 수익 5만 5천 달러(약 7,172만 원)를 기록, 박스오피스 14위로 데뷔했습니다. 이후 최대 1,721개 극장까지 확대개봉, 2023년 3월 초까지 북미 누적 수익 1,689만 달러(약 220억 원), 전 세계 누적 수익 3,248만 달러(약 423억 원)로 제작비 300만 달러(약 39억 원) 대비 10배 이상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23년 3월 1일 개봉했습니다.


95회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 브렌든 프레이저(출처-구글 이미지)

매 촬영마다 4~6시간여에 걸쳐 특수 메이크업을 하고 300파운드(136kg)에 달하는 슈트를 입어 270kg 거구 찰리를 연기한 브렌든 프레이저와 찰리의 친구이자 간호사 리즈를 연기한 홍 차우가 95회 아카데미 남우주연상과 여우조연상에 노미네이트 되었고, 메이크업 & 헤어스타일링상까지 총 3개 부문 후보에 올라 이중 남우주연상과 메이크업 & 헤어스타일링상을 수상했습니다.

 

특히 프레이저는 29회 미국 배우조합 SAG어워즈, 28회 크리틱스 초이스 어워즈, 27회 새털라이트 어워즈 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면서, 골든 글로브 어워즈 뮤지컬 코미디 부문 남우주연상을 받은 <이니셰린의 밴시 The Banshees of Inisherin(2022)>의 콜린 패럴 Colin Farrell, 영국 아카데미 BAFTA와 골든 글로브 드라마 부문 남우주연상을 받은 <엘비스 Elvis(2022)>의 오스틴 버틀러 Austin Butler와 함께 95회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부문 3파전의 양상을 이루었고, 결국 배우 인생 30여년 만에 첫 아카데미 노미네이션에 이어 첫 수상의 쾌거를 이뤘습니다.


어떤 내용이길래

출처-구글 이미지

과체중으로 인한 건강 이상으로 집안에 틀어박혀 지내는 찰리(브렌든 프레이저)는 대학 작문 온라인 수업에서도 카메라가 고장 났다는 핑계를 대고 자신의 모습을 감춘 채 강의를 합니다. 바깥세상과의 거의 유일한 연결통로인 친구이자 간호사인 리즈(홍 차우)가 찰리를 늘 보살피는데, 울혈성심부전이 우려되는 찰리의 건강을 염려해 병원에 가야 한다고 찰리를 다그치지만, 건강보험도 들지 않은 찰리는 병원비를 감당할 수 없다며 치료를 거부합니다.

 

새 생명 교회 선교사 토머스(타이 심킨스)가 우연히 찰리의 집을 찾아오고, 찰리의 모습을 본 토머스는 뭔가 찰리를 도울 수 있는 일이 있을 거라 믿습니다. 한편, 찰리는 피자를 자주 주문하지만, 늘 현관문 옆 우편함에 20달러를 넣어두고 피자를 가져온 댄(사티야 스리드하란)은 현관 벤치에 피자를 두고 가기 때문에, 찰리와 댄은 서로 마주칠 일이 없습니다. 늘 댄이 떠난 것을 확인한 후에야 문을 열고 나와 피자상자를 가지고 들어가는 찰리.

 

출처-구글 이미지

찰리는 소원한 딸 엘리(세이디 싱크)와의 관계를 회복하고 싶어 합니다. 엘리가 8살 때 집을 박차고 나온 이후,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딸에게 전처 메리(사만다 모튼) 모르게 자신을 찾아와 시간을 보내준다면, 엘리의 계좌에 모아둔 12만 달러를 주겠다고 말합니다. 한창 반항심 가득한 10대 엘리는 돈 얘기를 듣고 마지못해 찰리의 청을 들어주기로 하고, 에세이 과제를 대신 써달라고 찰리에게 들이댑니다. 찰리는 엘리에게 빈 공책과 연필을 주며 자유롭게 쓰고 싶은 것을 쓰라고 합니다.

 

그 이후 토머스가 시시때때로 찰리를 찾아오는 것이 못마땅한 리즈는 자신이 새 생명 교회 담임목사에게 입양된 딸이며, 찰리의 상태가 극도로 악화된 것은 남자친구였던 앨런이 죽은 이후부터였고, 앨런은 자신의 오빠이기도 했다는 사실을 말합니다.  결국 찰리는 누구의 도움도 필요 없고, 오로지 자신이 돌봐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하지만 리즈가 아무리 못마땅해하더라도, 토머스는 분명 자신이 찰리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고 믿습니다.


배우들의 연기는 압권이지만 감독이 전하려는 메시지는 다소 모호한

출처-구글 이미지

아로노프스키의 모든 작품에 해당되지는 않지만, <레퀴엠(2000)>의 엘렌 버스틴 Ellen Burstyn, <더 레슬러(2008)>의 미키 루크 Mickey Rourke를 캐스팅해 전성기가 지나간 배우의 새로운 전성기를 열어준 전력이 있습니다. 엘렌 버스틴이나 미키 루크에게 이전에 그들이 맡았던 역할과 사뭇 다른 캐릭터를 맡겨 관객들에게 그 배우들의 새로운 이미지를 선보인 셈인데요. <더 웨일(2022)>에서 브렌든 프레이저에게 100kg이 넘는 슈트를 입히고 특수 분장을 더해 거구의 은둔자 찰리로 변신하게 한 아로노프스키의 새로운 도전은 성공했습니다.

 

앞선 두 배우 모두 각 영화의 캐릭터로 아카데미 주연상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었는데요. 엘렌 버스틴은 이미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배우이지만, 미키 루크에게는 생애 첫 노미네이션이었고, 그해 아카데미 수상이 꽤 유력한 상태였으나 안타깝게도 <밀크 Milk(2008)>의 숀 펜 Sean Penn에게 석패했었죠.

 

9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브렌든 프레이저에게 미키 루크 때와 같은 상황이 펼쳐질 것인지, 아니면 게리 올드먼 Gary Oldman이 남우주연상을 수상하고, 메이크업 & 헤어스타일링상까지 수상했던 <다키스트 아워 Darkest Hour(2017)> 때와 같은 극적인 순간이 이뤄질지는 3월 12일 저녁에 알 수 있습니다(로스앤젤레스 현지 시각).


<더 웨일(2022)>은 연극이 원작이어서도 그렇지만, 극 대부분이 찰리의 집에서 전개되다 보니 상당히 연극적인 영화가 되었습니다. 찰리의 집 가운데에서도 거실이 거의 90% 이상의 비중이고, 그나마 침실과 현관문 앞이 잠깐 등장할 뿐인데요. 그래서인지 찰리의 집 현관문이 마치 연극무대의 입퇴장 통로처럼, 거구의 찰리는 늘 그 자리에 있고 나머지 배우 4명이 들어왔다 나갔다를 반복합니다.

 

출처-구글 이미지

이러한 연극적 특성은 <더 웨일(2022)>의 장점이기도 하고 또 취약점이기도 한데요. 위의 이미지와 같이 좌우 블랙바가 보이는 4:3 비율의 화면비는 찰리의 집 거실을 거의 고정적인 연극 세트처럼 느껴지게 합니다. 그렇다 보니 풀샷에서는 배우들의 동작, 클로즈업에서는 배우들의 표정에 집중하게 하지만, 2시간 가까운 러닝타임 동안 요일을 알리는 자막이 아니었다면 그냥 하루 사이 일어난 일로 착각할 수도 있을 만큼 드라마가 단조롭습니다. 물론, 아로노프스키 영화답게 그로테스크한 장면이 있기는 하지만, 그의 이전 작품들과 비교한다면 그 정도는 다소 약하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구성 자체가 결코 단조롭다고 할 수는 없는데도 단조롭게 느껴진 이유는, 주인공 찰리의 과거가 본인과 주변 인물들의 대사를 통해 반복해서 설명되고, 남자친구의 죽음 이후 자포자기하다시피 해 현재의 상태에 이르렀음에도, 10년 전 박차고 떠난 딸에 대한 애정을 갈구한다던가 하는 찰리의 심리상태를 따라잡기가 버거웠기 때문인데요.

 

아무리 듣기 좋은 노래도 반복해서 듣다 보면 질리듯이, 8살이었던 엘리를 떠나 남자친구를 선택했던 과거에 대한 참회도 아니고, 지나간 것은 과거로 치고 현재는 망가졌지만 그때 버린 엘리의 미래를 위해 돈을 모음으로 용서받고 싶어 하는 그 심리를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심지어 돈 문제가 불거지면서, 찰리가 빈털터리인 줄 알았던 친구 리즈가 배신감을 느끼고 집을 박차고 나갔다가 엔딩에 다시 돌아오다니, 리즈의 심리도 공감하기 어렵기는 매한가지였습니다.

 

늘 인간심리를 지독하게 파고들어 생채기를 내고, 그 상처 난 부위에 소금을 뿌리는 듯했던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전작들과 비교하면 다소 순한 맛에 가깝지만, 과체중의 은둔자를 주인공으로 내세웠지만 용서도 화해도 참회, 그 어느 쪽으로 포커스를 맞춘 이야기인지 모호해 석연찮은 뒷맛을 남겼습니다.

 

엔딩에서 스스로 걸을 수도 없었던 찰리의 두 발이 공중으로 뜨고, 어린 엘리와 함께 갔던 바닷가 여행 장면이 다시 등장할 때, 결국 찰리가 죽음으로써 구원을 받은 것인지, 아니면 때맞춰 도착한 앰뷸런스에 실려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 목숨을 부지했다는 것인지, 보는 관객의 몫으로 남겨둔 듯한 열린 결말은 시종일관 모호하던 영화의 분위기에 걸맞은 마무리였습니다.

 

 

[영화 정보]

국내 제목: 더 웨일(2022)

원제: The Whale

제작국가: 미국

감독: 대런 아로노프스키

캐스트: 브렌든 프레이저, 세이디 싱크, 홍 차우, 타이 심킨스, 사만다 모튼, 사티야 스리드하란 등

장르: 드라마

러닝타임: 117분

관람등급: 15세 관람가

개봉일: 2023년 3월 1일(한국)/2022년 12월 9일(미국)

 

주요 수상내역:

2023년 95회 아카데미 2개 부문 수상 - 남우주연상(브렌든 프레이저), 메이크업 & 헤어스타일링상

2023년 95회 아카데미 3개 부문 노미네이트 - 남우주연상(브렌든 프레이저), 여우조연상(홍 차우), 메이크업 & 헤어스타일링상

 

2023년 76회 영국 아카데미 BAFTA 4개 부문 노미네이트 - 남우주연상(브렌든 프레이저), 여우조연상(홍 차우), 각색상, 메이크업 & 헤어상

2023년 28회 크리틱스 초이스 어워즈 남우주연상 수상(브렌든 프레이저)

2023년 27회 새털라이트 어워즈 남우주연상(드라마) 수상(브렌든 프레이저)

 

2023년 34회 미국 제작자조합 PGA어워즈 작품상 노미네이트

2023년 29회 미국 배우조합 SAG어워즈 남우주연상 수상(브렌든 프레이저)

2023년 29회 미국 배우조합 SAG어워즈 2개 부문 노미네이트 - 남우주연상(브렌든 프레이저), 여우조연상(홍 차우)

2023년 15회 미국 메이크업 아티스트 & 헤어스타일리스트 조합상 특수 메이크업 효과상 수상

 

2022년 19회 세인트 루이스 영화평론가협회상 남우주연상 수상(브렌든 프레이저)

2022년 뉴욕 온라인 영화평론가협회상 여우조연상 수상(홍 차우)

2022년 라스베이거스 영화평론가협회상 남우주연상 수상(브렌든 프레이저)

2022년 여성 영화평론가협회상 남우주연상 수상(브렌든 프레이저)

 

 

[관련 글]

 

 

2023년 95회 아카데미 시상식 최종 결과 -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7관왕

2023년 95회 아카데미 시상식 최종 결과 - 7관왕 LA 현지 시각 기준, 2023년 3월 12일(일) 저녁(3월 13일(월) 오전 - 우리나라 시각), 지난 89회와 90회 시상식을 진행했던 미국 코미디 배우 지미 키멜 Jimmy

bryanjo.com


대런 아로노프스키 다른 연출 영화

 

레퀴엠(2000) -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될성부른 떡잎 시절

※ 글 내용 중에 영화 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레퀴엠(2000) - 대런 아로노프스키의 될성부른 떡잎 시절 SF 스릴러 로 데뷔한 대런 아로노프스키 Darren Aronofsky 감독의 두 번째 장편 연출작 은 미국

bryanjo.com

반응형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