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6회 칸영화제 경쟁부문 등 공식 초청작 발표
이미 76회 경쟁부문 심사위원장으로 <더 스퀘어 The Square(2017)><슬픔의 삼각형 Triangle of Sadness(2022)>로 70회와 75회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스웨덴 필름메이커 루벤 외스틀렌드 Ruben Östlund를 발표했었는데요.
웨스 앤더슨 Wes Anderson, 아키 카우리스마키 Aki Kaurismäki, 난니 모레티 Nanni Moretti, 켄 로치 Ken Loach, 빔 벤더스 Wim Wenders, 고레에다 히로카즈(是枝 裕和) Hirokazu Kore-eda 등 거장들의 신작들이 즐비한 2023년 76회 칸영화제 경쟁부문을 비롯한 비경쟁부문, 칸프리미어, 주목할만한 시선에 공식 초청된 작품들이 2023년 4월 13일 발표되었습니다.
개막작 Film d'Ouverture
프랑스 필름메이커이자 배우 마이웬 Maïwenn의 6번째 장편 연출작인 <잔느 뒤바리 Jeanne du Barry(2023)>가 76회 칸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되었습니다.
마이웬이 연출, 각본, 제작과 함께 타이틀롤 마담 뒤바리를 연기했고, 조니 뎁 Johnny Depp이 루이 15세 역을 맡은 <잔느 뒤바리(2023)>는 루이 15세의 마지막 정부(情婦)이자 뒤바리 백작부인으로 알려진 실존인물 잔느 베퀴 Jeanne Bécu(1743~1793)의 생애를 그린 전기 시대극입니다.
마이웬 감독은 <경찰들 Polisse(2011)>로 2011년 64회 심사위원상을 수상했고, <몽 루아 Mon Roi(2015)>로 2015년 68회 경쟁부문에 초청되었습니다.
경쟁부문 Compétition
터키 필름메이커이자 배우이자 사진작가인 누리 빌게 제일란 Nuri Bilge Ceylan이 9번째 장편 연출작인 <어바웃 드라이 그래시스(Kuru Otlar Üstüne) About Dry Grasses(2023)>로 통산 8번째 경쟁부문에 초청되었습니다(단편 경쟁부문 포함).
2018년 71회 경쟁부문 초청 <야생 배나무(Ahlat Ağacı) The Wild Pear Tree(2018)>
2014년 67회 황금종려상 수상 <윈터 슬립(Kış Uykusu) Winter Sleep(2014)>
2011년 64회 심사위원대상 수상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Bir Zamanlar Anadolu’da) Once Upon a Time in Anatolia(2011)>
2008년 61회 감독상 수상 <쓰리 몽키스(Üç Maymun) Three Monkeys(2008)>
2006년 59회 경쟁부문 초청, FIPRESCI상 수상 <기후(İklimler) Climates(2006)
2003년 56회 심사위원대상 수상 <우작(Uzak) Distant(2002)>
1995년 48회 단편 경쟁부문 초청 <코쿤(Koza) Cocoon(1995)>
프랑스 감독이자 각본가이자 편집기사인 쥐스틴 트리에 Justine Triet 4번째 장편 연출작인 <몰락의 해부(Anatomie d’Une Chute) Anatomy of a Fall(2023)>로 칸 경쟁부문에 두 번째 초청되었습니다.
2019년 72회 경쟁부문 초청 <시빌 Sibyl(2019)>
2016년 69회 국제비평가주간 초청 <빅토리아와 한 침대에(Victoria) In Bed with Victoria(2016)>
미국 필름메이커 웨스 앤더슨 Wes Anderson의 11번째 장편 연출작 <애스터로이드 시티 Asteroid City(2023)>는 앤더슨의 세 번째 칸 경쟁부문 초청작입니다.
2021년 74회 경쟁부문 초청 <프렌치 디스패치 The French Dispatch(2021)>
2012년 65회 경쟁부문 초청 <문라이즈 킹덤 Moonrise Kingdom(2012)>
세네갈계 프랑스 감독이자 각본가인 라마타 툴라예 사이 Ramata-Toulaye Sy가 장편 연출 데뷔작 <바넬과 아다마(Banel et Adama) Banel & Adama(2023)>로 칸 경쟁부문에 첫 입성했고, 경쟁부문 초청작 중 유일하게 데뷔작을 대상으로 심사하는 황금카메라상 Caméra d'Or 후보작입니다.
오스트리아 감독이자 제작자이자 각본가인 예시카 하우스너 Jessica Hausner의 8번째 장편 연출작 <클럽 제로 Club Zero(2023)>는 하우스너 감독의 두 번째 칸 경쟁부문 초청작입니다.
2019년 72회 경쟁부문 초청 <리틀 조 Little Joe(2019)> *여우주연상 수상(에밀리 비첨)
2014년 67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아무르 푸 Amour Fou(2014)>
2004년 57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호텔 Hotel(2004)>
2001년 54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사랑스러운 리타 Lovely Rita(2001)>
1999년 52회 시네파운데이션상 특별언급 <인터뷰 Inter-View(1999)>
핀란드 감독이자 각본가 아키 카우리스마키 Aki Kaurismäki는 19번째 장편 연출작 <낙엽(Kuolleet lehdet) Fallen Leaves(2023)>으로 <르 아브르 Le Havre(2011)> 이후 12년 만에 칸 경쟁부문에 돌아왔습니다.
2011년 64회 경쟁부문 초청, FIPRESCI상 수상 <르 아브르 Le Havre(2011)>
2006년 59회 경쟁 부문 초청 <황혼의 빛(Laitakaupungin valot) Lights in the Dusk(2006)>
2002년 55회 심사위원대상 수상 <과거가 없는 남자(Mies vailla menneisyyttä) The Man Without a Past(2002)>
2002년 55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텐 미니츠 - 트럼펫 Ten Minutes Older: The Trumpet(2002)> *옴니버스 영화
1996년 49회 경쟁부문 초청 <어둠은 걷히고(Kauas pilvet karkaavat) Drifting Clouds(1996)>
브라질 감독이자 비주얼 아티스트인 카림 아이누즈 Karim Aïnouz가 알리시아 비칸데르 Alicia Vikander, 주드 로 Jude Law가 출연한 역사 공포 영화 <파이어브랜드 Firebrand(2023)>로 4년 만에 뤼미에르 대극장 레드카펫을 밟게 됩니다.
2019년 72회 경쟁부문 초청 <인비저블 라이프(A Vida Invisível) The Invisible Life of Eurídice Gusmão(2019)>
2011년 64회 감독주간 초청 <실버 클리프(O Abismo Prateado) The Silver Cliff(2011)>
2002년 55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마담 사타 Madame Satã(2002)>
튀니지 감독 카우타르 벤 하니야 Kaouther Ben Hania가 8번째 장편 연출작 <올파의 딸들(Les Filles D'olfa) Four Daughters(2023)>로 칸 경쟁부문에 첫 입성하게 되었습니다.
2017년 70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미녀와 개자식들(La Belle et la Meute) Beauty and the Dogs
이탈리아 감독, 제작자, 각본가, 배우인 난니 모레티 Nanni Moretti가 15번째 장편 연출작 <미래의 태양(Il sol dell'avvenire) The Sun of the Future(2023)>으로 9번째 칸 경쟁부문에 초청되었습니다.
2021년 74회 경쟁부문 초청 <일층 이층 삼층(Tre piani) Three Floors(2021)>
2015년 68회 경쟁부문 초청 <나의 어머니 Mia madre(2015)>
2011년 64회 경쟁부문 초청 <우리에겐 교황이 있다(Habemus Papam) We Have a Pope(2011)>
2006년 59회 경쟁부문 초청 <악어(Il caimano) The Caiman(2006)>
2001년 54회 황금종려상 수상 <아들의 방(La stanza del figlio) The Son's Room(2001)>
1998년 51회 경쟁부문 초청 <4월(Aprile) April(1998)>
1994년 47회 감독상 수상 <나의 즐거운 일기 Caro diario(1993)>
1978년 31회 경쟁부문 초청 <에체 봄보 Ecce bombo(1978)>
중국 감독 왕빙(王兵) Wang Bing이 연출한 프랑스, 홍콩, 네덜란드 합작 장편 다큐멘터리 <청춘 Jeunesse(2023)>으로 칸 경쟁부문에 처음 초청되었습니다. 왕빙 감독의 또 다른 신작 <맨 인 블랙 Man in Black(2023)>은 스페셜 스크리닝스에 초청되어, 올해 칸영화제에서는 왕빙 감독의 신작 두 편이 공개됩니다.
2018년 71회 스페셜 스크리닝스 초청 <사령혼: 죽은 넋(死靈魂) Dead Souls(2018)>
2007년 60회 스페셜 스크리닝스 초청 <중국 여인의 연대기(和鳳鳴) Fengming, a Chinese Memoir(2007)>
2007년 감독주간 초청 <삶의 조건 L'état du monde(2007)> *옴니버스 영화
극영화와 다큐멘터리를 번갈아 발표한 이탈리아 편집기사, 각본가, 감독인 알리체 로르바케르 Alice Rohrwacher의 신작 <키메라 La Chimera(2023)>로 칸 경쟁부문에 3번째 초청되었습니다.
2021년 감독주간 초청 <내일 Futura(2021)> * 옴니버스 다큐멘터리
2018년 71회 각본상 수상 <행복한 라짜로(Lazzaro felice) Happy as Lazzaro(2018)>
2014년 67회 심사위원대상 수상 <더 원더스(Le meraviglie) The Wonders(2014)>
2011년 감독주간 초청 <천상의 육체(Corpo celeste) Heavenly Body(2011)>
프랑스 필름메이커이자 소설가이자 교수인 카트린느 브레야 Catherine Breillat가 16번째 장편 연출작이자 <어뷰즈 오브 위크니스(Abus de faiblesse) Abuse of Weakness(2013)> 이후 10년 만의 신작인 <지난여름(L'été dernier) Last Summer(2023)>으로, 16년 만에 칸 경쟁부문에 초청되었습니다.
2007년 60회 경쟁부문 초청 <미스트리스(Une vieille maîtresse) The Last Mistress(2007)>
2002년 감독주간 초청 <섹스 이즈 코미디 Sex Is Comedy(2002)>
2001년 올해의 프랑스 영화인상 수상 <팻 걸(À ma sœur!) Fat Girl(2001)>
미국 감독이자 각본가, 제작자인 토드 헤인즈 Todd Haynes가 연출하고, 나탈리 포트먼 Natalie Portman, 줄리앤 무어 Julianne Moore, 찰스 멜튼 Charles Melton이 출연한 <메이 디셈버 May December(2023)>
2021년 74회 비경쟁부문 초청 <벨벳 언더그라운드 The Velvet Underground(2021)>
2017년 70회 경쟁부문 초청 <원더스트럭 Wonderstuck(2017)>
2015년 68회 경쟁부문 초청 <캐롤 Carol(2015)> * 퀴어 종려상, 여우주연상 수상(루니 마라)
1998년 51회 경쟁부문 초청 <벨벳 골드마인 Velvet Goldmine(1998)>
지난해 송강호 배우가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브로커 Broker(2022)>에 이어 일본 감독이자 편집기사이자 제작자이자 각본가인 고레에다 히로카즈(是枝 裕和) Hirokazu Kore-eda가 신작 <괴물(怪物) Monster(2023)>로 2년 연속 칸 경쟁부문에 진출하면서, 주목할만한 시선 2회 진출과 함께 통산 9번째 칸 공식부문 초청 기록을 세웠습니다.
2022년 75회 경쟁부문 초청 <브로커 Broker(2022)> *남우주연상 수상(송강호)
2018년 71회 황금종려상 수상 <어느 가족 万引き家族(2018)>
2016년 69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폭풍이 지나가고 海よりもまだ深く(2016)>
2015년 68회 경쟁부문 초청 <바닷마을 다이어리 海街diary(2015)>
2013년 66회 심사위원상 수상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そして父になる(2013)>
2009년 62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공기인형 空気人形(2009)>
2004년 57회 경쟁부문 초청 <아무도 모른다 誰も知らない(2004)> *남우주연상 수상(야기라 유야)
2001년 54회 경쟁부문 초청 <디스턴스 Distance(2001)>
<나, 다니엘 블레이크 I, Daniel Black(2016)>와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2006)>로 두 차례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영국 감독이자 각본가인 켄 로치 Ken Loach가 26번째 장편 연출작 <올드 오크 The Old Oak(2023)>로 통산 15번째 칸 경쟁부문 초청 기록을 세웠습니다.
2019년 72회 경쟁부문 초청 <미안해요, 리키 Sorry We Missed You(2019)>
2016년 69회 황금종려상 수상 <나, 다니엘 블레이크 I, Daniel Blake(2016)>
2014년 67회 경쟁부문 초청 <지미스 홀 Jimmy's Hall(2014)>
2012년 65회 심사위원상 수상 <앤젤스 셰어: 천사를 위한 위스키 The Angel's Share(2012)>
2010년 63회 경쟁부문 초청 <루트 아이리쉬 Route Irish(2010)>
2009년 62회 경쟁부문 초청 <루킹 포 에릭 Looking for Eric(2009)>
2006년 59회 황금종려상 수상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2006)>
2002년 55회 경쟁부문 초청 <달콤한 열여섯 Sweet Sixteen(2002)>
2000년 53회 경쟁부문 초청 <빵과 장미 Bread and Roses(2000)>
1998년 51회 경쟁부문 초청 <내 이름은 조 My Name Is Joe(1998)>
1995년 48회 경쟁부문 초청, FIPRESCI상 수상 <랜드 앤 프리덤 Land and Freedom(1995)>
1993년 46회 심사위원상 수상 <레이닝 스톤 Raining Stones(1993)>
1991년 감독주간 초청, FIPRESCI상 수상 <하층민들 Riff-Raff(1991)>
1990년 43회 심사위원상 수상 <숨겨진 계략 Hidden Agenda(1990)>
1981년 34회 경쟁부문 초청 <외모와 미소 Looks and Smiles(1981)>
1979년 감독주간 초청, FIPRESCI상 수상 <블랙 잭 Black Jack(1979)>
<파리, 텍사스 Paris, Texas(1984)>로 37회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독일 필름메이커이자 극작가이자 사진작가인 빔 벤더스 Wim Wenders가 신작 <퍼펙트 데이즈 The Perfect Days(2023)>로 통산 13번째 칸 공식부문 초청 기록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벤더스의 또 다른 신작인 조각가 안셀름 키퍼 Anselm Kiefer에 관한 3D 다큐멘터리 <안셀름 Anselm(2023)>도 스페셜 스크리닝스에 초청되어, 왕빙과 함께 올해 두 편의 신작이 칸에 초청된 감독이 되었습니다.
2018년 71회 스페셜 스크리닝스 초청 <프란치스코 교황: 맨 오브 히스 워드(Papst Franziskus - Ein Mann seines Wortes) Pope Francis: A Man of His Word(2018)>
2014년 67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 <제네시스: 세상의 소금(Das Salz der Erde) The Salt of the Earth(2014)>
2008년 61회 경쟁부문 초청 <팔레르모 슈팅 Palermo Shooting(2008)>
2005년 58회 경쟁부문 초청 <돈 컴 노킹 Don't Come Knocking(2005)>
2002년 55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텐 미니츠 - 트럼펫 Ten Minutes Older: The Trumpet(2002)> *옴니버스 영화
1997년 50회 경쟁부문 초청 <폭력의 종말(Am Ende der Gewalt) The End of Violence(1997)>
1993년 46회 심사위원대상 수상 <멀고도 가까운(In weiter Ferne, so nah!) Faraway, So Close!(1993)>
1987년 40회 감독상 수상 <베를린 천사의 시(Der Himmel über Berlin) Wings of Desire(1987)>
1984년 37회 황금종려상, FIPRESCI상 수상 <파리, 텍사스 Paris, Texas(1984)>
1982년 35회 경쟁부문 초청 <해밑 Hammett(1982)>
1977년 30회 경쟁부문 초청 <미국 친구(Der Amerikanische Freund) The American Friend(1977)>
1976년 29회 경쟁부문 초청, FIPRESCI상 수상 <시간의 흐름 속으로(Im Lauf der Zeit) Kings of the Road(1976)>
베트남계 프랑스 감독이자 각본가인 트란 안 훙(쩐아인훙) Trần Anh Hùng 감독이 7번째 장편 연출작 <팟 오 푸(Le Pot-au-feu de Dodin Bouffant) The Pot au Feu(2023)>로 칸 경쟁부문에 처음 초청되었습니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두 배우 줄리엣 비노쉬 Juliette Binoche와 브누아 마지멜 Benoît Magimel이 출연한 <팟 오 푸(2023)>는 1885년을 배경으로 요리사 도댕 부팡의 로맨스를 그린 시대극이며, 제목인 '팟 오 푸'는 프랑스 전통 요리 이름입니다.
1993년 46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그린 파파야 향기(Mùi đu đủ xanh) The Scent of Green Papaya(1993)>
2000년 53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여름의 수직선에서(Mùa hè chiếu thẳng đứng) The Vertical Ray of the Sun(2000)>
이탈리아 감독이자 각본가이자 배우인 마르코 벨로키오 Marco Bellocchio의 26번째 장편 연출작 <납치 Rapito(2023)>로 통산 10번째 칸 공식부문 초청되었습니다.
2021년 74회 칸 프리미어 초청 <마르크스 캔 웨이트(Marx può aspettare) Marx Can Wait(2021)>
2019년 72회 경쟁부문 초청 <배신자(Il traditore) The Traitor(2019)>
2018년 감독주간 초청 <싸움 La Lotta(2018)> *단편영화
2009년 62회 경쟁부문 초청 <승리 Vincere(2009)>
2006년 59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웨딩 디렉터(Il regista di matrimoni) The Wedding Director(2006)>
2002년 55회 경쟁부문 초청 <내 어머니의 미소(Il sorriso di mia madre) My Mother's Smile(2002)>
1999년 52회 경쟁부문 초청 <보모(La balia) The Nanny(1999)>
1997년 50회 경쟁부문 초청 <홈부르크의 왕자(Il principe di Homburg) The Prince of Homburg(1997)>
1984년 37회 경쟁부문 초청 <헨리 4세(Enrico IV) Henry IV(1984)>
1980년 33회 경쟁부문 초청 <리프 인 더 다크(Salto nel vuoto) A Leap in the Dark(1980)>
영국 감독이자 각본가인 조나단 글레이저 Jonathan Glazer의 4번째 연출작 <더 존 오브 인터레스트 The Zone of Interest(2023)>는 영국 소설가 마틴 에이미스 Martin Amis가 2014년 발표한 같은 제목의 소설을 느슨하게 각색한 미국, 영국, 폴란드 합작 영화로 글레이저는 이번에 칸 경쟁부문 처음 진출했습니다.
주목할만한 시선 Un Certain Regard
불량자들(Los Delincuentes) The Delinquents - 로드리고 모레노 Rodrigo Moreno(아르헨티나)
관계 맺는 방법 How to Have Sex - 몰리 매닝 워커 Molly Manning Walker(영국) * 황금카메라상 후보
굿바이 줄리아 Goodbye Julia - 모하메드 코르도파니 Mohamed Kordofani(수단) * 황금카메라상 후보
부리티 꽃(Crowrã) The Buriti Flower - 주앙 살라비자 João Salaviza, 르네 네이더 메소라 Renée Nader Messora(브라질)
사랑의 본질(Simple Comme Sylvain) The Nature of Love - 모니아 초크리 Monia Chokri(캐나다)
모든 거짓말의 어머니(Kadib Abyad) The Mother of All Lies - 아스마 엘 무디르 Asmae El Moudir(모로코)
정착자들(Los Colonos) The Settlers - 펠리페 갈베즈 Felipe Gálvez(칠레, 아르헨티나) * 황금카메라상 후보
오멘(Augure) Omen - 발로지 치아니 Baloji Tshiani(벨기에, 콩고 민주공화국) * 황금카메라상 후보
브레이킹 아이스 The Breaking Ice - 앤소니 첸(陳哲藝) Anthony Chen(싱가포르)
로잘리 Rosalie - 스테파니에 디 쥬스토 Stéphanie Di Giusto(프랑스)
뉴 보이 The New Boy - 워윅 손튼 Warwick Thornton(오스트레일리아)
동면할 수 있다면 If Only I Could Hibernate - 졸자르갈 푸레브다쉬 Zoljargal Purevdash(몽골) * 황금카메라상 후보
화란 Hopeless - 김창훈(한국) * 황금카메라상 후보
지상의 구절(آیه های زمینی) Terrestrial Verses - 알리 아스가리 Ali Asgari, 알리레자 하타미 Alireza Khatami(이란)
잃을 것도 없다 Rien à Perdre - 델핀느 델로게 Delphine Deloget(프랑스) * 황금카메라상 후보
패거리들 Les Meutes - 카말 라즈락 Kamal Lazraq(모로코) * 황금카메라상 후보
동물의 왕국 La Regne Animal - 토마스 카일리 Thomas Cailley(프랑스) * 개막작
비경쟁부문 Hors Compétition
거미집 Cobweb - 김지운(한국)
김지운 감독이 10번째 장편 연출작 <거미집 Cobweb(2023)>으로 15년 만에 통산 3번째 칸 비경쟁부문에 초청되었습니다.
2005년 58회 비경쟁부문 초청 <달콤한 인생 A Bittersweet Life(2005)>
2008년 61회 비경쟁부문 초청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The Good, The Bad, The Weird(2008)>
<브로커 Broker(2022)>로 75회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송강호 배우는 이번 <거미집(2023)>이 통산 8번째 칸영화제 초청작입니다.
2022년 75회 경쟁부문 초청 <브로커 Broker(2022)> *남우주연상 수상(송강호)
2021년 74회 비경쟁부문 초청 <비상선언 Emergency Declaration(2021)>
2019년 72회 경쟁부문 초청 <기생충 Parasite(2019)> *황금종려상 수상
2009년 62회 경쟁부문 초청 <박쥐 Thirst(2009)> *심사위원상 수상
2008년 61회 비경쟁부문 초청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The Good, The Bad, The Weird(2008)>
2007년 60회 경쟁부문 초청 <밀양 Secret Sunshine(2007)> *여우주연상 수상(전도연)
2006년 감독주간 초청 <괴물 The Host(2006)>
인디아나 존스와 운명의 다이얼 Indiana Jones and the Dial of Destiny - 제임스 맨골드 James Mangold(미국)
제임스 맨골드는 <헤비 Heavy(1995)>가 1995년 감독주간에 초청된 이후, 28년 만에 칸을 방문하게 됩니다.
1995년 감독주간 초청 <헤비 Heavy(1995)>
킬러즈 오브 더 플라워 문 Killers of the Flower Moon - 마틴 스콜시즈 Martin Scorsese(미국)
미국 작가이자 저널리스트 데이비드 그랜 David Grann이 2017년 발표한 논픽션 『플라워 문 - 거대한 부패와 비열한 폭력, 그리고 FBI의 탄생 Killers of the Flower Moon: The Osage Murders and the Birth of the FBI』을 각색한 마틴 스콜시즈의 신작이 비경쟁 부문에 초청되었습니다.
스콜시즈는 <택시 드라이버 Taxi Driver(1976)>로 29회 황금종려상, <특근 After Hours(1986)>로 39회 감독상을 수상한 이후, 1998년 51회 경쟁부문 심사위원장, 2002년 55회 시네파운데이션과 단편 경쟁부문 심사위원장을 맡은 후, 21년 만에 칸에 방문할 예정입니다.
1986년 39회 감독상 수상 <특근 After Hours(1986)>
1983년 36회 경쟁부문 초청 <코미디의 왕 The King of Comedy(1983)>
1976년 29회 황금종려상 수상 <택시 드라이버 Taxi Driver(1976)>
1975년 28회 경쟁부문 초청 <앨리스는 더 이상 여기 살지 않는다 Alice Doesn't Live Here Anymore(1975)>
잔느 뒤바리 Jeanne du Barry - 마이웬 Maïwenn(프랑스) * 개막작
시리즈 Series
아이돌 The Idol - 샘 레빈슨 Sam Levinson(미국)
미드나잇 스크리닝스 Séances de minuit
딸기 오마르 Omar Las Fraise - 엘리아스 벨케다르 Elias Belkeddar(프랑스)
케네디 Kennedy - 아누락 카시압 Anurag Kashyap(인도)
산(酸) Acide - 쥐스트 필리포 Just Philippot(프랑스)
칸 프리미어 Cannes Première
보나르, 피에르, 마르트 Bonnard, Pierre and Marthe - 마르탱 프로보스트 Martin Provost(프랑스)
클로즈 유어 아이즈(Cerrar los ojos) Close Your Eyes - 빅토르 에리세 Víctor Erice(스페인, 아르헨티나)
길(首) Kubi - 기타노 다케시(北野 武) Takeshi Kitano(일본)
사랑할 시간 Le Temps d'Aimer - 카텔 퀠레베레 Katell Quillévéré(프랑스)
스페셜 스크리닝스 Séances spéciales
유령 사진(Retratos Fantasmas) Pictures of Ghosts - 클레베르 멘돈사 필류 Kleber Mendonça Filho(브라질)
안셀름(시간의 소음) Anselm(Das Rauschen Der Zeit) - 빔 벤더스(독일)
아큐파이드 시티 Occupied City - 스티브 맥퀸 Steve McQueen(미국, 영국)
맨 인 블랙 Man in Black - 왕빙(중국)
단편 영화 Courts métrages
재미있는 전쟁 Funny Wars - 장 뤽 고다르 Jean-Luc Godard
지난 2022년 9월 13일, 91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프랑스 누벨바그의 거장 장 뤽 고다르 Jean-Luc Godard가 생전 마지막으로 남긴 20분 분량의 단편 영화가 칸에서 최초 공개됩니다.
2018년 71회 경쟁부문 초청, 특별 황금종려상 수상 <이미지 북(Le Livre d'image) The Image Book(2018)>
2014년 67회 심사위원상 수상 <언어와의 작별(Adieu au Langage) Goodbye to Language(2014)> *자비에 돌란 감독 <마미 Mommy(2014)>와 공동 수상
2010년 63회 주목할만한 시선 초청 <필름 소셜리즘(Socialisme) Film Socialisme(2010)>
2001년 54회 경쟁부문 초청 <사랑의 찬가(Éloge de l'amour) In Praise of Love(2001)>
1990년 45회 경쟁부문 초청 <누벨바그 Nouvelle Vague(1990)>
1987년 42회 경쟁부문 초청 <아리아 Aria(1987)> *옴니버스 영화
1985년 40회 경쟁부문 초청 <탐정 Detective(1985)>
1982년 37회 경쟁부문 초청 <패션 Passion(1982)>
1980년 35회 경쟁부문 초청 <할 수 있는 자가 구하라: 인생(Sauve Qui Peut (la vie)) Every Man for Himself(1980)>
스트레인지 웨이 오브 라이프 Strange Way of Life - 페드로 알모도바르 Pedro Almodóvar
틸다 스윈튼 Tilda Swinton과 작업한 단편 영화 <휴먼 보이스 The Human Voice(2020)>에 이은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새로운 단편 프로젝트 <스트레인지 웨이 오브 라이프 Strange Way of Life(2023)>도 칸영화제에서 최초 공개됩니다.
에단 호크 Ethan Hawke, 페드로 파스칼 Pedro Pascal이 출현했고, 알모도바르 형제의 제작사 엘 데세오 El Deseo와 프랑스 명품 브랜드 생로랑 Saint Laurent이 공동제작했습니다.
2019년 72회 경쟁부문 초청 <페인 앤 글로리(Dolor y gloria) Pain and Glory(2019)> *남우주연상 수상(안토니오 반데라스)
2016년 69회 경쟁부문 초청 <줄리에타 Julieta(2016)>
2011년 64회 경쟁부문 초청 <내가 사는 피부(La piel que habito) The Skin I Live In(2011)>
2009년 62회 경쟁부문 초청 <브로큰 임브레이스(Los abrazos rotos) Broken Embraces(2009)>
2006년 59회 경쟁부문 초청 <귀향 Volver(2006)> *여우주연상 수상(페넬로페 크루즈, 카르멘 마우라, 롤라 두에냐스, 블랑카 포르티요, 요아나 코보, 츄스 람프레아베)
1999년 52회 감독상 수상 <내 어머니의 모든 것(Todo sobre mi madre) All About My Mother(1999)>
'어워즈 & 페스티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76회 칸영화제 경쟁부문 수상 결과 (0) | 2023.05.28 |
---|---|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2회 수상 감독 8명(1946~2022) (0) | 2023.05.22 |
[아카데미상] 왠지 수상자를 짐작할 수 있게 했던 시상자 5 (0) | 2023.03.21 |
아카데미와 골든 라즈베리, 최고와 최악 모두를 섭렵한 영화는? (0) | 2023.03.14 |
[아카데미상] 역대 아시아계 배우 연기상 수상자와 후보자 (0) | 2023.03.13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