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내용 중에 영화 <인어공주(1989)>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인어공주(1989) - 1990년대 디즈니 르네상스의 첫 신호탄
디즈니의 28번째 장편 애니메이션 <인어공주 The Little Mermaid(1989)>는 덴마크 작가 한스 크리스티앙 안데르센 Hans Christian Andersen(1805~1875)이 1837년 발표한 같은 제목의 동화를 느슨하게 각색했습니다.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1937)>를 시작으로 <피노키오 Pinocchio(1940)><판타지아 Fantasia(1940)><덤보 Dumbo(1941)><신데렐라 Cinderella(1950)><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Alice in Wonderland(1951)> 등 수십 년이 넘는 오랜 시간 동안 애니메이션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독보적인 브랜드파워를 과시하던 월트 디즈니 픽쳐스도 한동안 침체기를 겪던 중, 새로운 전성기의 포문을 연 기념비적 작품이 바로 <인어공주(1989)>인데요.
<인어공주(1989)> 이후에 <알라딘 Aladdin(1992)><헤라클레스 Hercules(1997)> 등 1990년대에도 이어진 디즈니의 새로운 전성시대를 함께 한 미국 애니메이터이자 감독이자 제작자, 각본가인 존 머스커 John Musker와 론 클레멘츠 Ron Clements가 함께 각색하고 연출을 맡았습니다.
또한 미국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이자 가수이자 레코드 프로듀서인 앨런 멘켄 Alan Menken이 스코어와 주제가의 작곡을 맡았고, 제작자로도 참여한 미국 극작가이자 작사가이자 무대 연출가였던 하워드 애쉬먼 Howard Ashman(1950~1991)이 주제가의 작사를 담당했습니다.
미국 배우이자 가수인 조디 벤슨 Jodi Benson이 타이틀롤 에이리얼의 목소리 연기를 맡았고, 미국 배우이자 작가인 크리스토퍼 다니엘 반즈 Christopher Daniel Barnes가 에릭 왕자의 목소리를 연기했습니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역대급 빌런으로 손꼽히는 마녀 우르술라는 미국 배우이자 코미디언이었던 팻 캐럴 Pat Carroll(1927~2022), 트라이튼 왕은 미국 배우였던 케네스 마스 Kenneth Mars(1935~2011), 가재 세바스천은 미국 배우이자 가수였던 사무엘 E. 라이트 Samuel E. Wright(1946~2021), 에이리얼의 친구 플라운더는 당시 15세였던 제이슨 매린 Jason Marin, 갈매기 스커틀은 미국 배우이자 가수이자 코미디언이었던 버디 해켓 Buddy Hackett(1924~2003)와 함께 패디 에드워즈 Paddi Edwards(1931~1999), 벤 라이트 Ben Wright(1915~1989), 에디 맥클럭 Edie McClurg, 윌 라이언 Will Ryan(1949~2021), 르네 오베르저누아 René Auberjonois(1940~2019)가 목소리 연기에 참여했습니다.
1989년 당시 4,000만 달러(약 534억 원)의 제작비가 투입되어, 1989년 11월 17일 부에나 비스타 픽쳐스 디스트리뷰션 배급으로 북미 994개 극장에서 개봉, 첫 주말 누적 수익 603만 달러(약 80억 원)로 같은 주 개봉한 에디 머피 Eddie Murphy 주연의 <할렘 나이트 Harlem Nights(1989)>(첫 주말 누적 수익 1,609만 달러)와 5주 연속 1위를 지킨 후 2위로 내려선 <마이키 이야기 Look Who's Talking(1989)>(6주 차 주말 누적 수익 853만 달러)에 이어 박스오피스 3위로 데뷔했습니다.
이후 북미 최대 1,533개 극장에서 총 58주간 상영한 결과, 북미 최종 누적 수익 8,435만 달러(약 1,126억 원), 전 세계 최종 누적 수익 2억 1,130만 달러(약 2,820억 원)로 흥행에 크게 성공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북미 개봉 후 1991년 12월 21일, 동숭아트센터, 계몽아트홀, 코아아트홀, 롯데월드 시네마에서 개봉, 서울 관객수 44만 명을 기록하며 역시 흥행에 성공했습니다.
또한 1990년 47회 골든 글로브 어워즈에서 뮤지컬 코미디 부문 작품상을 비롯, 오리지널 스코어상과 주제가 "Kiss the Girl"과 "Under the Sea"가 오리지널 주제가상 후보에 오르는 등 총 4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어, 이중 오리지널 스코어상과 "Under the Sea"로 오리지널 주제가상을 수상했고, 6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오리지널 스코어상과 오리지널 주제가상에 두 곡이 모두 후보에 올라 총 3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어, 골든 글로브와 마찬가지로 오리지널 스코어상과 "Under the Sea"가 오리지널 주제가상을 수상했습니다.
<인어공주(1989)>의 성공 이후, 11년이 지난 2000년에 에이리얼의 딸 멜로디를 주인공으로 한 속편 <인어공주 2 The Little Mermaid II: Return to the Sea(2000)>가 홈비디오 영화로 제작되었고, 2008년에는 프리퀄 <인어공주 3 The Little Mermaid: Ariel's Beginning(2008)>가 역시 홈비디오 영화로 제작되었습니다.
이후 미국 극작가이자 각본가인 더그 라이트 Doug Wright가 극본을 쓰고, 앨런 멘켄과 새로운 작사가 글렌 슬레이터 Glenn Slater가 작곡과 작사를 맡은 브로드웨이 뮤지컬이 제작되어, 2007년 7~9월 덴버에서 초연을 한 후, 2007년 11월 3일 브로드웨이 런트-폰텐 시어터에서 프리뷰를 가진 후 2008년 1월 10일부터 2009년 8월 30일까지 공연되었습니다.
2019년, ABC <원더풀 월드 오브 디즈니 The Wonderful World of Disney>의 일환으로 라이브쇼 <인어공주 라이브! The Little Mermaid Live!>가 방영되기도 했는데요. <모아나(2016)>에서 모아나의 목소리를 맡았던 아우이 크라발호 Auliʻi Cravalho와 미국 래퍼이자 배우이자 가수인 퀸 라티파 Queen Latifah 등이 출연했습니다.
그리고, 75회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작인 뮤지컬 영화 <시카고 Chicago(2002)> 등을 연출한 미국 감독이자 무대 연출가이자 제작자이자 안무가인 롭 마셜 Rob Marshall이 연출한 실사 버전의 <인어공주 The Little Mermaid(2023)>가 2023년 5월 말 개봉합니다.
지난 2022년, 마이클 고든 Michael Gordon 감독(1909~1993)의 <시라노 드 벨쥬락 Cyrano de Bergerac(1950)>, 브라이언 드 팔마 Brian De Palma 감독의 <캐리 Carrie(1976)>, 존 워터스 John Waters 감독의 <헤어스프레이(1988)>, 롭 라이너 Rob Reiner 감독의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When Harry Met Sally...(1989)>, 존 파브로 Jon Favreau 감독의 <아이언맨 Iron Man(2008)>, 디 리스 Dee Rees 감독의 <파리아 Pariah(2011)> 등과 함께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보존 영상물로 선정되었습니다.
어떤 내용이길래
대서양 해저왕국 아틀란티카에 살고 있는 16살 난 인어공주 에이리얼(조디 벤슨)은 바닷속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인간이 사는 세상을 동경합니다. 그날도 가장 친한 친구인 열대어 플라운더(제이슨 매린)와 함께 갈매기 스커틀(버디 해켓)을 만나러 수면 위로 올라간 에이리얼.
스커틀은 인간이 쓰는 물건들에 대해 늘 잘못된 정보를 알려주지만, 스커틀에게서 받은 물건들은 에이리얼의 비밀 동굴에 고이 간직한 소중한 컬렉션이 됩니다. 아틀란티카 왕국을 지배하는 크라이튼 왕(케네스 마스)은 인어는 인간과 접촉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하지만, 에이리얼은 이를 귓등으로 흘려듣고 오늘도 인간 세계에 대한 동경을 멈추지 않습니다.
어느 날 밤, 에이리얼과 플라운더, 그리고 크라이튼 왕의 조력자이자 궁정 작곡가인 가재 세바스천(사무엘 E. 라이트)은 수면 위로 올라가 에릭 왕자(크리스토퍼 다니엘 반즈)의 생일 파티를 구경하던 중, 에릭 왕자를 본 에이리얼은 첫눈에 그와 사랑에 빠져버립니다.
그러다 갑자기 불어닥친 폭풍우에 배가 부서지고 에릭 왕자가 바다 위로 휩쓸려 조난당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이를 본 에이리얼이 에릭 왕자를 구조해 해변으로 데려갑니다. 정신을 잃은 에릭 왕자를 위해 에이리얼은 노래를 부르고, 곧 에릭 왕자가 정신을 차리고 깨어나지만 에이리얼은 바위 뒤에 숨어버립니다.
에이리얼의 매력적인 노랫소리에 반한 에릭 왕자는 자신을 구해내고 노래를 불러준 여성을 찾기로 하고, 에이리얼은 에릭 왕자가 사는 세상에 합류할 방법이 있을지 궁리합니다. 그날 이후, 에이리얼에게서 이상한 기운을 감지한 트라이튼 왕은 세바스천에게 이유를 묻고, 에이리얼이 에릭 왕자와 사랑에 빠졌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듣습니다.
크게 분노한 트라이튼 왕은 에이리얼의 비밀 동굴을 찾아가 에이리얼이 소중하게 모아둔 인간의 물건들을 모조리 파괴하고는 동굴에서 나가버립니다. 상심과 슬픔에 빠진 에이리얼 곁에 푸른 뱀장어 두 마리, 플롯샘과 젯샘(패디 에드워즈)이 다가와 바다 마녀 우르술라(팻 캐럴)를 찾아가면 방법이 있을 거라 귀띔을 합니다.
떨리는 마음으로 우르술라를 찾아간 에이리얼은 우르술라로부터 귀가 솔깃한 제안을 듣습니다. 3일 동안 에이리얼의 목소리를 우르술라에게 맡기는 대신, 에이리얼은 두 다리로 걸어 다닐 수 있는 인간의 모습으로 변한다는 제안. 그리고 그 3일 안에 에릭 왕자로부터 진정한 사랑을 담은 키스를 받아야만 한다는 것. 그렇게만 된다면 에이리얼은 평생 인간으로 에릭 왕자와 함께 할 수 있고, 그렇지 못하게 되면 다시 인어로 돌아와 평생 우르술라의 소유물이 된다는 것.
우르술라의 위험한 제안을 받아들인 에이리얼은 목소리를 잃은 대신 두 다리를 얻어 플라운더와 세바스천의 배웅을 받아 수면 위 인간 세상으로 가고, 해변에서 에이리얼을 발견한 에릭 왕자는 에이리얼이 자신을 구해준 사람이라는 것은 미처 모른 채 자신의 성으로 일단 데려갑니다.
아름다운 음악과 함께 디즈니식으로 재해석한 명작 동화
<인어공주(1989)>를 시작으로 <미녀와 야수 Beauty and the Beast(1991)><알라딘 Alddin(1992)><라이온킹 The Lion King(1994)> 등으로 이어지는 환상적인 라인업은 이른바 디즈니 르네상스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작품들로, 개봉 당시에는 물론이고 그 이후에도 뮤지컬 공연으로 테마파크 어트랙션으로 실사영화로 만들어지며 수십 년째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을 매료시키고 있습니다.
거기엔 앨렌 멘켄과 하워드 애쉬먼, 두 사람의 작곡과 작사로 이뤄진 아름다운 오리지널 주제곡들과 멘켄이 작곡한 오리지널 스코어, 그리고 배우들의 노래와 목소리 연기, 무엇보다 디즈니식으로 재해석하여 대체적으로 무리 없이 즐길 수 있는 무난한 스토리와 기술력이 <인어공주(1989)>를 성공하게 한 비결일 텐데요. 안데르센의 원작 동화에서는 결국 인어공주와 왕자의 사랑이 이뤄지지 못하고 물거품이 되어 사라지는 슬픈 결말인데 비해, 디즈니는 그와 정반대의 행복한 엔딩을 마련해, 모두를 행복하고 흐뭇하게 만들었습니다.
우리말 더빙 버전도 원어 버전 못지않게 완성도가 훌륭한데요. 특히 우르술라를 연기한 박정자 배우의 음색은 원어를 연기한 팻 캐럴의 카리스마를 능가할 정도로 매우 잘 어울립니다. 마침 디즈니플러스에서 스트리밍 중인 <인어공주(1989)>는 우리말 버전으로도 손쉽게 선택해서 볼 수 있습니다.
[영화 정보]
국내 제목: 인어공주(1989)
원제: The Little Mermaid(1989)
제작국가: 미국
감독: 존 머스커, 론 클레멘츠
캐스트(목소리): 조디 벤슨, 크리스토퍼 다니엘 반즈, 팻 캐럴, 케네스 마스, 사무엘 E. 라이트, 제이슨 매린, 버디 해켓 등
장르: 애니메이션/뮤지컬/판타지/로맨스/코미디
러닝타임: 83분
관람등급: 전체 관람가
개봉일: 1991년 12월 21일(한국)/1997년 12월 13일(한국 재개봉)/1989년 11월 17일(미국)
주요 수상내역:
1990년 62회 아카데미 2개 부문 수상 - 오리지널 스코어상, 오리지널 주제가상("Under the Sea")
1990년 47회 골든 글로브 어워즈 2개 부문 수상 - 오리지널 스코어상, 오리지널 주제가상("Under the Sea")
1991년 33회 그래미 어워즈 2개 부문 수상 - 어린이를 위한 레코딩상, 영화 혹은 TV 주제가상("Under the Sea")
1990년 15회 로스앤젤레스 영화평론가협회상 애니메이션 작품상 수상
1990년 43회 칸영화제 비경쟁 부문 초청
'영화리뷰 1980년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농의 샘 2부(1986) - 인과응보(因果應報) (0) | 2023.05.20 |
---|---|
안개기둥(1986) - 결혼지옥도(結婚地獄圖) (0) | 2023.05.14 |
미시시피 버닝(1988) - 뿌리 깊은 혐오와 증오에 대한 반기(反旗) (0) | 2023.05.08 |
피고인(被告人)(1988) - 중범죄를 결코 가볍게 넘기지 말라는, 날카로운 사회 고발 메시지 (0) | 2023.05.04 |
백야(白夜)(1985) - 명곡 "Say You, Say Me", 그리고 자유에 대한 갈망 (0) | 2023.04.21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