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워즈 & 페스티벌

[칸영화제] 대한민국, 칸영화제 경쟁부문 본상 모두 수상한 7번째 나라 등극! (Feat. K-무비 파워)

by 조브라이언 2022. 5. 29.
반응형

2019년 72회 황금종려상 수상 후 포토콜(왼쪽부터) 봉준호 감독, 송강호 배우(출처-구글 이미지)

프랑스 칸 현지시각으로 2022년 5월 28일(토) 저녁에 있었던 75회 칸영화제 폐막식에서 우리나라 영화 <헤어질 결심 Decision to Leave>의 박찬욱 감독이 감독상을, <브로커 Broker>의 송강호 배우가 남우주연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영국에 이어, 칸영화제 경쟁부문의 최고상인 황금종려상부터, 심사위원 대상인 그랑프리, 감독상, 남녀주연상, 각본상, 심사위원상까지 7개 시상 부문을 모두 받은 7번째 나라가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칸영화제 경쟁부문 7개 부문을 모두 수상한 나라들의 수상 내역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국 외 나라의 경우, 전체 수상내역이 아닌, 7개 부문 수상까지만 명시했습니다).


대한민국 Republic of Korea

2022년 75회 감독상 박찬욱 감독, 남우주연상 송강호 배우(출처-구글 이미지)

황금종려상:

2019년 72회 <기생충 Parasite> 봉준호 감독

 

그랑프리:

2004년 57회 <올드보이 Oldboy> 박찬욱 감독

 

감독상:

2002년 55회 <취화선 Chihwaseon> 임권택 감독

2022년 75회 <헤어질 결심 Decision to Leave> 박찬욱 감독

 

남우주연상:

2022년 75회 <브로커 Broker> 송강호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여우주연상:

2007년 60회 <밀양 Secret Sunshine> 전도연 (이창동 감독)

 

각본상:

2010년 63회 <시 Poetry> 이창동 감독

 

심사위원상:

2009년 62회 <박쥐 Thirst> 박찬욱 감독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2018년 71회 그랑프리 스파이크 리 감독(출처-구글 이미지)

황금종려상:

2011년 64회 <트리 오브 라이프 Tree of Life> 테렌스 맬릭 감독

2004년 57회 <화씨 9/11 Fahrenheit 9/11> 마이클 무어 감독

2003년 56회 <엘리펀트 Elephant> 거스 반 산트 감독

 

그랑프리:

2018년 71회 <블랙클랜스맨 BlacKkKlansman> 스파이크 리 감독

2013년 66회 <인사이드 르윈 Inside Llewyn Davis> 조엘 & 에단 코엔 감독

2005년 58회 <브로큰 플라워 Broken Flowers> 짐 자무쉬 감독

 

감독상:

2017년 70회 <매혹당한 사람들 The Beguiled> 소피아 코폴라 감독

2014년 67회 <폭스캐쳐 Foxcatcher> 베넷 밀러 감독

2007년 60회 <잠수종과 나비 The Diving Bell and the Butterfly> 줄리앙 슈나벨 감독

2003년 56회 <엘리펀트 Elephant> 거스 반 산트 감독

2002년 55회 <펀치 드렁크 러브 Punch-Drunk Love> 폴 토머스 앤더슨 감독

2001년 54회 <멀홀랜드 드라이브 Mulholland Dr.> 데이비드 린치 감독 *미국, 프랑스 합작

2001년 54회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 The Man Who Wasn't There> 조엘 코엔 감독

 

남우주연상:

2021년 74회 <니트람  Nitram> 케일럽 랜드리 존스 (저스틴 커젤 감독) *호주 영화

2017년 70회 <너는 여기에 없었다 You Were Never Really Here> 호아킨 피닉스 (린 램지 감독) *영국, 프랑스, 미국 합작

2013년 66회 <네브라스카 Nebraska> 브루스 던 (알렉산더 페인 감독)

2005년 58회 <토미 리 존스의 쓰리베리얼 The Three Burials of Melquiades Estrada> 토미 리 존스 (토미 리 존스 감독) *프랑스, 미국 합작

 

여우주연상:

2015년 68회 <캐롤 Carol> 루니 마라 (토드 헤인즈 감독)

2014년 67회 <맵 투 더 스타 Maps to the Stars> 줄리앤 무어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 *캐나다, 프랑스, 독일, 미국 합작

2011년 64회 <멜랑콜리아 Melancholia> 키어스틴 던스트 (라스 폰 트리에 감독) *덴마크, 스웨덴, 프랑스, 독일 합작

 

각본상:

2000년 53회 <너스 베티 Nurse Betty> 제임스 플램버그, 존 C. 리처즈 (닐 라뷰트 감독)

 

심사위원상:

2004년 57회 <레이디킬러 The Ladykillers> 일마 P. 홀 (조엘 & 에단 코엔 감독)


프랑스 France

2001년 54회 그랑프리, 남녀주연상 (왼쪽부터) 미카엘 하네케, 이자벨 위페르, 브누아 마지멜(출처-구글 이미지)

황금종려상:

2021년 74회 <티탄 Titane> 쥘리아 두쿠르노 감독 *프랑스, 벨기에 합작

2015년 68회 <디판 Dheepan> 자크 오디아르 감독

2013년 66회 <가장 따뜻한 색 블루 La Vie d'Adèle – Chapitres 1 & 2> 압델라티프 케시시 감독 *프랑스, 벨기에, 스페인 합작

2013년 66회 <가장 따뜻한 색 블루> 아델 엑사르쇼폴로스, 레아 세이두 *명예 황금종려상

2012년 65회 <아무르 Amour> 미카엘 하네케 감독 *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2009년 62회 <클래스 Entre les murs> 로랑 캉테 감독

2002년 55회 <피아니스트 The Pianist> 로만 폴란스키 감독 *프랑스, 독일, 폴란드, 영국 합작

 

그랑프리:

2019년 72회 <애틀랜틱스 Atlantique> 마티 디옵 감독 *프랑스, 세네갈, 벨기에 합작

2017년 70회 <120BPM 120 battements par minute> 로벵 캉피요 감독

2016년 69회 <단지 세상의 끝 Juste la fin du monde> 자비에 돌란 감독 *캐나다, 프랑스 합작

2010년 63회 <신과 인간 Des hommes et des dieux> 자비에 보부아 감독

2009년 62회 <예언자 Un prophète> 자크 오디아르 감독

2006년 59회 <플랑드르 Flandres> 브뤼노 뒤몽 감독

2001년 54회 <피아니스트 La Pianiste> 미카엘 하네케 감독 *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감독상:

2022년 75회 <스타즈 앳 눈 Stars at Noon> 클레어 드니 감독

2021년 74회 <아네트 Annette> 레오스 카락스 감독

2016년 69회 <퍼스널 쇼퍼 Personal Shopper> 올리비에 아사야스 감독 *프랑스, 독일, 체코 공화국, 벨기에 합작

2010년 63회 <온 투어 Tournée> 마티유 아말릭 감독 *프랑스, 독일 합작

2004년 57회 <추방된 사람들 Exils> 토니 갓리프 감독

 

남우주연상:

2015년 68회 <아버지의 초상 La Loi du marché> 뱅상 랭동 (스테판 브리제 감독)

2011년 64회 <아티스트 The Artist> 쟝 뒤자르뎅 (미셸 아자나비시우스 감독)

2006년 59회 <영광의 날들 Indigènes> 자멜 드부즈, 사미 나세리, 로시디 젬, 사미 부아질라, 베르나르드 블랑칸 (라시드 부샤렙 감독)

2001년 54회 <피아니스트 La Pianiste> 브누아 마지멜 (미카엘 하네케 감독)

 

여우주연상:

2015년 68회 <몽 루아 Mon roi> 엠마뉘엘 베르코 (마이웬 감독)

2013년 66회 <아무도 머물지 않았다 Le Passé> 베레니스 베조 (아쉬가르 파르하디 감독) *프랑스, 이탈리아, 이란 합작

2010년 63회 <사랑을 카피하다 Copie conforme> 줄리에트 비노쉬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 *프랑스, 이탈리아, 벨기에 합작

2001년 54회 <피아니스트 La Pianiste> 이자벨 위페르 (미카엘 하네케 감독)

 

각본상:

2019년 72회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Portrait de la jeune fille en feu> 셀린 시아마 감독

2004년 57회 <룩 앳 미 Look at Me> 아녜스 자우이, 장-피에르 바크리 (아녜스 자우이 감독)

 

심사위원상:

2019년 72회 <레 미제라블 Les Misérables> 레쥬 리 감독

2014년 67회 <언어와의 작별 Adieu au Langage> 장-뤽 고다르 감독 *프랑스, 스위스 합작

2011년 64회 <경찰들 Polisse> 마이웬 감독

2007년 69회 <페르세폴리스 Persepolis> 빈센트 파로노드, 마르얀 사트라피 감독 *프랑스, 이란 합작


이탈리아 Italia

2001년 54회 황금종려상 난니 모레티 감독(출처-구글 이미지)

황금종려상:

2001년 54회 <아들의 방 La stanza del figlio> 난니 모레티 감독 *이탈리아, 프랑스 합작

 

그랑프리:

2014년 67회 <더 원더스 Le meraviglie> 알리체 로르바케르 감독 *이탈리아, 스위스, 독일 합작

2012년 65회 <리얼리티: 꿈의 미로 Reality> 마테오 가로네 감독 *이탈리아, 프랑스 합작

2008년 61회 <고모라 Gomorra> 마테오 가로네 감독

 

감독상:

1994년 47회 <나의 즐거운 일기 Caro diario> 난니 모레티 감독

 

남우주연상:

2018년 71회 <도그맨 Dogman> 마르첼로 폰테 (마테오 가로네 감독)

2010년 63회 <라 노스트라 비타 La Nostra Vita> 엘리오 게르마노 (다니엘레 루체티 감독) *이탈리아, 프랑스 합작

 

여우주연상:

1994년 47회 <여왕 마고 La Reine Margot> 비르나 리시 (파트리스 셰로 감독)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합작

 

각본상:

2018년 71회 <행복한 라짜로 Lazzaro felice> 알리체 로르바케르 감독

1980년 33회 <테라스 La Terrazza> 후리오 스카펠리, 아게노르 인크로치, 에토레 스콜라 (에토레 스콜라 감독)

 

심사위원상:

2008년 61회 <일 디보 Il Divo> 파올로 소렌티노 감독


스페인 Spain

2006년 59회 각본상 페드로 알모도바르(왼쪽), 여우주연상 페넬로페 크루즈(출처-구글 이미지)

황금종려상:

1961년 14회 <비리디아나 Viridiana> 루이스 브뉘엘 감독

 

그랑프리:

1976년 29회 <까마귀 기르기 Cría Cuervos> 카를로스 사우라 감독

 

감독상:

1999년 52회 <내 어머니의 모든 것 Todo sobre mi madre>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

 

남우주연상:

2019년 72회 <페인 앤 글로리 Dolor y gloria> 안토니오 반데라스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

2010년 63회 <비우티풀 Biutiful> 하비에르 바르뎀 (알레한드로 G. 이냐리투 감독) *멕시코, 스페인 합작

 

여우주연상:

2006년 59회 <귀향 Volver> 페넬로페 크루즈, 카르멘 마우라, 요하나 코보, 블랑카 포르틸로, 롤라 두에냐스, 커스 램프리프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

 

각본상:

2006년 59회 <귀향 Volver>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

 

심사위원상:

1992년 45회 <햇빛 속의 모과나무 El sol del membrillo> 빅토르 에리세 감독 *다큐멘터리


영국 United Kingdom

2016년 69회 황금종려상 켄 로치 감독(출처-구글 이미지)

황금종려상:

2016년 69회 <나, 다니엘 블레이크 I, Daniel Blake> 켄 로치 감독

2006년 59회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켄 로치 감독 *아일랜드, 영국,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 합작

1996년 49회 <비밀과 거짓말 Secrets & Lies> 마이크 리 감독 *프랑스, 영국 합작

1986년 39회 <미션 The Mission> 롤랑 조페 감독

 

그랑프리:

1996년 49회 <브레이킹 더 웨이브 Breaking the Waves> 라스 폰 트리에 감독 *덴마크, 영국 합작

1988년 41회 <월드 아파트 A World Apart> 크리스 멘지스 감독 *영국, 짐바브웨 합작

 

감독상:

1998년 51회 <제너럴 The General> 존 부어맨 감독

1994년 47회 <네이키드 Naked> 마이크 리 감독

 

남우주연상:

2014년 67회 <미스터 터너 Mr. Turner> 티모시 스폴 (마이크 리 감독) *영국, 프랑스, 독일 합작

 

여우주연상:

2019년 72회 <리틀 조 Little Joe> 에밀리 비첨 (예시카 하우스너 감독) *오스트리아, 독일, 영국 합작

 

각본상:

2017년 70회 <너는 여기에 없었다 You Were Never Really Here> 린 램지 감독 *영국, 프랑스, 미국 합작

 

심사위원상:

2016년 69회 <아메리칸 허니: 방황하는 별의 노래 American Honey> 안드레아 아놀드 감독 *영국, 미국 합작

2015년 68회 <더 랍스터 The Lobster>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 *아일랜드, 영국, 프랑스, 그리스, 네덜란드 합작

2012년 65회 <엔젤스 셰어: 천사를 위한 위스키 The Angels' Share> 켄 로치 감독 *영국, 프랑스, 벨기에, 이탈리아 합작

2009년 62회 <피쉬 탱크 Fish Tank> 안드레아 아놀드 감독

2006년 59회 <붉은 거리 Red Road> 안드레아 아놀드 감독


러시아 Russia

2017년 70회 심사위원상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감독(출처-구글 이미지)

황금종려상:

1958년 11회 <학이 난다 Летят журавли> 미하일 칼라토조프 감독

1946년 1회 <터닝 포인트 Великий перелом> 프레드릭 어믈러 감독 *소비에트 연방/황금종려상 이전 '그랑프리' 수상

 

그랑프리:

1994년 47회 <위선의 태양 Утомлённые солнцем> 니키타 미할코프 감독 *러시아, 프랑스 합작

1987년 40회 <참회록 მონანიება> 텐기즈 아불라제 감독 *소비에트 연방

 

감독상:

1990년 43회 <택시 블루스 Такси-блюз> 파벨 룽긴 감독

 

남우주연상:

2007년 60회 <추방 Изгнание> 콘스탄틴 라브로넨코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감독)

 

여우주연상:

1981년 34회 <팩트 Факт> 옐레나 솔로베이 (알만타스 그리케비시우스 감독)

 

각본상:

2014년 67회 <리바이어던 Левиафан>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올레그 네긴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감독)

 

심사위원상:

2017년 70회 <러브리스 Нелюбовь>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감독 *러시아, 프랑스, 벨기에, 독일 합작

반응형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