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남궁원4

산딸기(1982) - '산딸기'를 야릇한 이미지의 과일로 기억하게 한 바로 그 영화 ※ 글 내용 중에 영화 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코미디 배우 이주일 주연의 , 신인시절 이미숙, 주병진 배우 주연의 등을 연출한 김수형 감독의 1982년작 는 같은 해 2월 개봉하여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으로 스타덤에 오른 안소영 배우가 주연한 토속 에로티시즘 영화로, 에서 안소영 배우와 함께 주연을 맡았던 임동진 배우를 비롯해, 남궁원, 김인문, 진유영, 양형호, 김민, 김애경, 문미봉 배우가 함께 출연한 작품으로, 1994년 6편까지 제작되었습니다. 영화 는 이효석 작가(1907~1942)가 1936년 발표한 단편 소설 와 , 그리고 을 각색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하는데요. 각본은 후에 강수연 배우 주연의 로 연출 데뷔 한 유지형 감독이 썼습니다. 유지형 감독은 1990년대에 의 각본을 쓰기도 했습니.. 2022. 8. 13.
적도(赤道)의 꽃(1983) - 비틀린 욕망에 사로잡힌 익명의 스토커 ※ 글 내용 중에 영화 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적도(赤道)의 꽃(1983) - 비틀린 욕망에 사로잡힌 익명의 스토커 등으로 1980년대 황금 라인업을 이룬 '배창호 감독-최인호 작가-안성기 배우'의 첫 번째 협업작인 영화 . 최인호 작가가 1981년 중앙일보에 연재한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했으며, 로 데뷔한 배창호 감독의 세 번째 장편 영화 연출작입니다. 주연을 맡은 안성기 배우는 배창호 감독의 거의 모든 작품에서 주연을 맡은 페르소나와도 같은 존재이고, 장미희 배우와는 에 이어 다음 해 에서도 재회했습니다. 1983년 10월 종로 3가 단성사에서 개봉하여, 단일관 기준 15만 명이 넘는 관객이 들면서 그해 한국영화 흥행 순위 2위에 올랐으며, 장미희 배우는 22회 대종상 여우주연상을, 안성기 배우는.. 2022. 7. 28.
화분(花粉)(꽃가루)(1972) - 50년 전 파격적 발상의 기묘한 5 각 관계 ※ 글 내용 중에 영화 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화분(花粉)(꽃가루)(1972) - 50년 전 파격적 발상의 기묘한 5 각 관계 1970년대 초반 당시, 최초의 해외 유학파 출신으로 촉망받던 고(故) 하길종 감독(1941~1979)의 데뷔작 . 발표하는 작품마다 논란의 중심이었던 이탈리아의 거장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Pier Paolo Pasolini(1922~1975)의 1968년작 의 오마쥬 작품으로도 유명한 영화 은 하길종 감독의 동생이기도 한 하명중 배우를 비롯해, 남궁원, 최지희, 윤소라, 여운계 배우 등 주요 다섯 캐릭터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오묘하고도 야릇한 미스터리 드라마입니다. 어떤 내용이길래 서울 인근 한적한 곳에 있는 거대한 규모의 한옥 '푸른 집'에 살고 있는 세 여자, 세란(최지희.. 2022. 7. 3.
내시(內侍)(1986) - 구중심처(九重深處)에 꿈틀대는 야심과 탐욕의 치정 스릴러 ※ 글 내용 중에 영화 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내시(內侍)(1986) - 구중심처(九重深處)에 꿈틀대는 야심과 탐욕의 치정 스릴러 1968년 신상옥 감독의 동명 영화를 리메이크한 이두용 감독의 1986년작 는 안성기, 이미숙, 남궁원, 김진아, 길용우 등 1980년대 당시 초호화 캐스팅으로 무장한 정통 궁중 치정극입니다. 영화의 시작과 함께 '어느 특정한 시대의 이야기가 아닌 잘 알려지지 않은 특별한 내시들의 이야기를 극화한 것'이라는 자막을 보여줌으로써, 원작 영화가 조선시대 명종을 주인공으로 했던 것과 달리 그저 예전 왕조 시대 어느 때 벌어졌음직한 비화(秘話) 임을 밝혔습니다. 정확한 박스오피스 정보는 남아있지 않지만, 1986년 추석 특선으로 국도극장에서 개봉하여 당시 서울 관객수만 30만 명이.. 2022. 6.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