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은진2

축제(祝祭)(1996) - 망자(亡者)를 떠나보내는 신성한 의식(儀式) 축제(祝祭)(1996) - 망자(亡者)를 떠나보내는 신성한 의식(儀式) ※ 글 내용 중에 영화 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임권택 감독의 95번째 장편 연출작 는 에 이어 이청준 작가(1939~2008)의 소설을 원작으로, 의 각본을 써 대종상, 백상예술대상, 청룡영화상을 받은 육상효 작가가 각색을 했습니다. 극 중 상주이자 저명한 작가 준섭을 연기한 안성기 배우는 어린이 시절 출연한 를 비롯, 에 이어 임권택 감독 연출작에 여섯 번째 출연했고, 이후 에도 출연했습니다. 한국영화 최초 서울 관객수 100만 명을 돌파했던 의 송화 역으로 데뷔한 오정해 배우가 에 이어 준섭의 조카 용순 역으로 출연했고, 한은진(1918~2003), 정경순, 박승태, 이금주, 안병경, 김경애, 남정희, 이해룡, 이예민, 이얼(1.. 2023. 8. 25.
씨받이(1986) - '월드스타' 강수연의 탄생 ※ 글 내용 중에 영화 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씨받이(1986) - '월드스타' 강수연의 탄생 1987년 당시 21세였던 강수연 배우가 한국 배우 최초로 3대 국제영화제 중 하나인 베니스 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작품 . 베니스영화제에서 수상 이후, '강수연'이라는 이름 앞에는 '월드스타'라는 수식어가 늘 따라다녔고, 1976년 10살의 나이로 영화에 데뷔한 이래, 으로 막 주연급 배우로 떠올랐던 강수연 배우는 를 비롯해, 1987년에만 6편의 주연 작품이 개봉할 정도로 최고의 티켓 파워를 지닌 스타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어떤 내용이길래 산 사람보다 죽은 조상을 더 떠받들며 살던 조선시대. 뼛속까지 유교 사상이 배어든 대갓집의 종손인 신상규(이구순)와 부인 윤 씨(방희) 사이에 자손이 없자.. 2022. 5. 6.
반응형